타이틀에서 언급했듯이
앞으로 블록체인 게임들의 발동을 제지하는 법원 판결문이 나왔습니다.
우선 P2E란 플레이 투 언(earn)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번다는 의미로
게임 내 아이템들에게 NFT를 탑재한 시스템으로
해당 아이템을 게임 내 온/오프 환경에서 현금화하며
이를 사행성으로 판단하여 제동이 제대로 걸렸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점은 머냐
아니 일반 게임도 바깥에서 현금으로 교환하지 않느냐!
아이템 현금거래와 뭐가 다르냐!? 라는 의견도 있지만
법원에서는 사행성 조장이 우려된다는 판결로 블록체인(NFT) 연계
P2E가 브레이크가 제대로 밟혀 후진까지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졌습니다.
게임 아이템과 다르게 게임 내 NFT 아이템을 사행성으로 본
법원의 판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게임 중 P2E는 아마도 대부분이
동일한 상황에 처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를 어떻게 우회할지?
아니면 정면 돌파할지?
P2E를 기반으로 제작하는 블록체인 게임 개발 업체들의
향후 진행 방향이 무척이나 기대되고 궁금해집니다.
다양한 블록체인 이슈 블록스타즈에서 빠르게 안내드리겠습니다!
'NFT , 블록체인 기업 > NFT 관련 기술업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형 토큰으로 부동산 미술품 나눠서 구매 (0) | 2023.01.19 |
---|---|
국내 프로배구 선수 NFT 코빗에서 판매 (0) | 2023.01.18 |
사우디 슈퍼컵 결승전 NFT 506점 모두 완판 (0) | 2023.01.16 |
넷마블과 바이낸스가 만나 만들어지는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0) | 2023.01.12 |
음악도 NFT로, 음악 NFT 플랫폼 3PM을 아시나요? (0) | 2023.01.12 |